▲도박 사이트 추천 로고.
▲대한석유협회 로고.

이란이 세계 원유 물동량의 핵심 통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의결하면서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는 23일, 호르무즈 해협 봉쇄가 국내 정유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며 업계와 정부의 대응 상황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현재까지 중동 원유 수송 유조선은 정상 운항 중이다. 하지만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과 이란의 봉쇄 의결이 맞물리며 전례 없는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라며 "실제로 봉쇄가 현실화될 경우, 전 세계 석유 물동량의 약 20%가 차질을 빚게 되며 원유 가격은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우리나라의 중동 원유 도입 비중은 2024년 기준 71.5%에 달한다. 이 중 95% 이상이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는 만큼, 해당 해역의 긴장은 국내 석유 수급에도 직결되는 사안이다. 도입국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UAE 등이 포함된다.

업계는 비상 상황을 대비해 정부와 긴밀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제 유가 변동과 해상 수송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중동 원유 도입이 어려워질 경우를 대비해 대체 수입선 및 유종 확보 방안도 강구 중이다. 특히 2025년 4월 기준, 국내에는 약 207일치(7개월분)의 석유 비축분이 있어 단기적 수급 불안에는 대응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가 유가 급등으로 이어질 경우 정유업계에는 실질적인 타격이 우려된다. 급등한 유가는 석유 소비를 위축시켜 정제마진 하락으로 이어지고, 이는 곧 업계 실적 악화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정유사의 원유 도입 원칙은 안정성과 경제성인데, 봉쇄가 장기화되거나 인근 지역으로 확산될 경우 이 두 가지 모두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석유협회는 “정부와 함께 국내 소비자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상황 전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박 사이트 추천]

저작권자 © 도박 사이트 추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