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최대 마켓플레이스 Opensea에서 내부자 보증 사이트 정황이 포착돼 시장에 충격을 던져주고 있는 가운데 차제에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사진 출처=프리픽)
▲NFT 최대 마켓플레이스 Opensea에서 내부자 거래 정황이 포착돼 시장에 충격을 던져주고 있는 가운데 차제에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사진 출처=프리픽)

[뉴스드림=설동훈 기자] NFT(대체불가토큰)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더해지고 이에 따라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에 비례해 내부자 거래와 러그 풀 등 각종 사기 행위 또한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다.

해외 블록체인 전문 매체 크립토뉴스(Cryptonews)에 따르면 최근 NFT 마켓플레이스 중 거래량 기준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오픈씨(OpenSea)에서 내부자 거래가 이뤄진 것이 드러나면서 시장과 관련 업계에 커다란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이번 사건의 발생은 내부자 거래가 이뤄진 오픈씨에 대한 투자자들의 비난을 넘어 차제에 분산된 NFT 거래 플랫폼 마련 등 탈법 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의견까지 제기되고 있다.

내부자 보증 사이트는 기업의 내부자가 자신의 직무 또는 지위와 관련해 기업의 미공개 중요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보증 사이트하는 등 부당이득을 취하는 불공정보증 사이트를 말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내부자 보증 사이트를 범죄로 처벌하고 있다.

오픈씨의 내부자 거래를 폭로한 트위터에 따르면 오픈씨의 제품 책임자 네이트 채스테인(Nate Chastain)이 거래 예정이던 NFT를 홈페이지 공개 직전에 구매하고 가격이 오른 후 재판매를 통해 시세차익을 누린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제기되자 오픈씨는 직원들이 공개적으로 게시되기 전에 알고 있는 항목을 구입한 사실, 즉 내부자 보증 사이트에 대한 의혹을 인정했다.

오픈씨는 “우리는 이번 사태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사건 해결을 위한 후속 조치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사건에 대한 즉각적이고 철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오픈씨는 사내 팀원들이 회사가 추천하거나 홍보하는 컬렉션을 보증 사이트하는 것을 금지하는 몇 가지 내부 통제 규정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업계에서는 내부자 거래와 시장가격 조작 등 일탈 행위를 지금처럼 기업의 자체적인 내부통제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와 같이 NFT 거래소를 비롯해 블록체인 기업의 내부자 거래와 시장가격 조작 등 위법적인 행위에 대한 법적 규정이 전무할 경우 동일한 사건이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방향 설정에 대해서는 규제기관의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는 시각과 NFT 거래 플랫폼의 탈중앙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는 등 이견이 충돌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탈중앙 금융(DeFi) 플랫폼 컴파운드 파이낸스(Compound Finance)의 로버트 레쉬너 공동창업자는 “중앙 집중식 시스템과 사용자는 불법적인 수익을 위한 위법 또는 탈법의 유혹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오픈씨는 이번 사건을 분산된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촉매제로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시노 글로벌 캐피탈의 매튜 그레이엄(Matthew Graham) 대표는 “오픈씨의 내부자 보증 사이트 의혹이 사실이라면 당장 채스테인을 해고하고 엄정한 법 집행이 이뤄져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외부 기관의 규제도 적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스라엘 블록체인 산업 포럼(Israel Blockchain Industry Forum) 창립 이사회 멤버인 마야 제하비(Maya Zehavi)도 “이번 사건이야 말로 미국 증권 거래위원회(SEC)가 다루어야 할 중대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보증 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