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디포스트는 제대혈 유래 동종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CARTISTEM®)’이 고위 경골 절골술(High Tibial Osteotomy, HTO)과 병용 치료 시 연골 재생에 효과를 보였다는 임상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가톨릭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석중 교수 연구팀이 주도했으며, 국제학술지 『Stem Cell Research & Therapy』(IF 7.1)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퇴행성 골관절염(medial compartment osteoarthritis)을 가진 환자 10명(평균 나이 58.5세, 평균 체질량지수 27.8kg/㎡)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카티스템 이식 후 최소 2년 동안 추적 관찰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평균 연골 결손 부위는 치료 전 7.00cm²에서 치료 후 0.16cm²로 감소해 97.7%의 연골 재생률을 보였다. 국제연골재생학회(ICRS) 등급은 수술 전 Grade 4(심각한 손상)에서 수술 후 Grade 1(정상에 가까운 수준)으로 호전됐다.
삶의 질 평가 지표인 SF-36 점수에서도 개선이 나타났다. 신체 건강을 나타내는 PCS 점수는 27.9점에서 55.3점으로, 정신 건강을 나타내는 MCS 점수는 41.0점에서 63.1점으로 각각 상승했다.
고위 경골 절골술은 관절 정렬을 조정해 관절염 진행을 늦추는 수술로 알려져 있으나, 연골 재생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번 연구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이식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4cm² 이상의 연골 손상을 가진 과체중 중년 환자에서도 치료 효과가 관찰됐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낮은 면역원성, 높은 증식력, 연골 분화 가능성 등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치료제로, 비침습적 채취가 가능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점에서 상용화에 적합한 장점을 갖는다.

가톨릭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석중 교수는 “향후 줄기세포 단독 이식, 고위 경골 절골술 단독 치료와의 비교 연구 및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며 “MRI 기반 비침습적 평가 도입에 대한 기대도 있다”고 전했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이번 결과는 카티스템이 연골 재생 효과를 보이는 치료제임을 객관적으로 입증한 사례”라며 “지속적인 임상 연구를 통해 적용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티스템은 2012년 품목허가를 받은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치료제로, 2025년 5월 기준 누적 투여 환자 수는 3만3000명을 넘었다. 현재 미국에서는 FDA와의 협의를 통해 임상 3상 승인 신청을 준비 중이며, 일본에서는 마지막 환자 투약까지 완료되고 70% 이상의 대상자가 1년 추적 관찰을 마친 상태다. [도박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