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리스크 확대→모기업 신용등급 강등→사업자금 확보 난항

시공능력평가 34위인 SGC이테크건설의 살림살이가 빠듯해질 전망이다. 실적 부진과 연이은 중대재해로 시장 신뢰에 금이 간 데 이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리스크가 모기업인 SGC에너지로 전이돼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되면서 자금 조달에 직접적인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일 한국신용평가는 부캉제일차가 지난 11월 발행한 300억 원 규모 제1회차 ABSTB(유동화전자단기사채)의 신용등급을 'A2+'에서 'A2' 낮췄다. 부캉제일차는 인천 원창동 B1물류센터 개발사업 시행사인 에이치2인천북항물류(차주)가 발행한 대출채권을 유동화하기 위해 설립된 SPC(특수목적법인)다.
B1물류센터 개발사업 시공사인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은 부캉제일차를 통한 에이치2인천북항물류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돕기 위해 모기업인 도박 종류에너지와 함께 신용을 보강(연대자금보증·채무인수 의무)해준 바 있다. 에이치2인천북항물류가 돈을 갚지 않을 시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은 공사비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해당 업체의 빚도 대신 상환해야 하는 셈이다. 현재 해당 현장은 준공 지연, 준공 후 수요 부족 등으로 인해 리스크가 확대된 실정이다.
부캉제일차의 ABSTB 신용등급이 떨어진 이유는 이 같은 PF 대출 구조 하에서 도박 종류에너지의 신용등급이 강등됐기 때문이다. 한신평은 지난 18일 도박 종류에너지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이에 앞서 지난 12일 한국기업평가도 도박 종류에너지의 신용등급을 기존 'A+(부정적)'에서 'A(안정적)'로 내린 바 있다.
아울러 한신평은 델타마운틴제일차가 발행한 제1-1회차 ABCP(유동화기업어음)의 신용등급도 'A2+'에서 'A2'로 하향 조정했다. 델타마운틴제일차는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이 추진하는 사업 자금을 마련하고자 설립된 SPC로, 해당 SPC를 통해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차주)은 지난 2월 300억 원을 조달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도박 종류에너지는 채무보증을 서 줬고, 도박 종류에너지의 신용등급이 떨어지면서 델타마운틴제일차의 ABCP 신용등급 역시 내려간 것이다.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은 악순환의 늪에 빠진 꼴이 됐다. 도박 종류에너지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을 야기한 게 바로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이기 때문이다. 한신평 측은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이 책임준공 의무(미이행 시 조건부 채무인수)를 제공한 일부 물류센터 현장 등 상당수 사업장의 준공 지연으로 도박 종류이테크건설과 도박 종류에너지가 PF 차입금에 대한 자금보충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관련 우발채무 부담이 현실화됐다. 주요 PF 사업장의 비우호적인 외부여건, 저조한 분양률 등을 감안하면 당분간 도박 종류에너지의 과중한 재무적 지원 부담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도박 종류에너지의 신용등급을 낮췄다.
그리고 앞서 언급했듯 도박 종류에너지의 신용등급이 강등됨에 따라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의 사업장에 투입될 자금을 조달하는 SPC들의 신용등급도 떨어진 것이다. 실제로 한신평은 부캉제일차, 델타마운틴제일차 외에도 타미케이청라, 비엔케이멀티제이차, 에스지씨멀티파워제삼차 등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이 차주로 있거나 신용을 보강한 SPC의 신용등급을 대거 하향 조정했으며, 지난 19일 발행된 에이치와이에너지제일차의 제1회차 ABSTB에도 신용등급 'A2'를 부여했다.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이 도박 종류에너지의 발목을 잡고, 도박 종류에너지가 흔들리자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이 더 위태로워지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악순환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지배적인 견해다.
한기평 측은 "도박 종류에너지가 신용공여를 제공한 사업장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원창동 물류센터에 대해 임대차계약 체결 후 매각, 담보대출 등 방식으로 신용공여를 해소할 계획이나, 물류센터 공급과잉으로 임차인의 요구 조건이 높아져 계약 체결이 지연되고 있다. 이외 사업장의 경우 분양대금 수취, 준공 후 매각 등을 통해 PF 대출을 상환할 예정이나 분양실적은 저조한 상황"이라며 "도박 종류이테크건설의 중대재해법 위반에 따른 영업정지 행정처분도 부담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경기 악화, 자금시장 경색 등 불확실성 요소가 산재해 있고, 경기 침체 및 고금리 지속에 따른 실질 구매력 저하로 고분양가 책정이 여의치 않은 점, 금융권의 PF 관련 익스포저 축소로 인한 우발채무 현실화 가능성 등으로 건설업 사업환경이 단기간 내 개선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뉴스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