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기업문화가 퇴보하고 있는 눈치다. 갑질과 성폭력으로 회사를 떠나는 젊은 직원들이 늘고 있는데, 정작 이들에게 피해를 준 상급자들은 억대 명예퇴직금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LH에서 갑질·폭언·폭행·성희롱 사례로 징계 처분이 내려진 사안은 총 33건으로, 이중 29건의 피해자가 20~30대 청년 직원들로 나타났다. 가해자들은 대부분 40~50대였다.
징계 절차에 들어가면 피해 신고 사실이 공개돼 익명성 보장이 어려운 만큼, 2차 가해 우려로 미신고한 피해자들까지 감안하면 LH 내부에서 발생한 갑질·폭언·폭행·성희롱 사건은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는 게 조 의원실의 설명이다.
실제로 LH 인권센터에서 조사한 '2022 년 직장 내 괴롭힘 실태조사' 보고서를 살펴봏면 2030 청년 직원 총 501명 중 93명(18.6%)이 모욕적 언행으로 인한 괴롭힘, 상급자에 의한 회식 참여 강요, 술잔 하나로 돌려서 사용, 연차 등 권리 요구 무시 등을 경험했다고 토로했다.
회사를 떠나는 젊은 직원들도 불어나고 있는 추세다. 최근 5년간 LH 중도 퇴직자 748명 중 603명(80.6%)이 20~30대 직원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구시대적 기업문화, 사내에 만연한 도덕적 기강 해이에 시달리다가 퇴사를 단행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조 의원실은 부연했다.
이처럼 갑질·폭언·폭행·성희롱을 당한 피해자들이 LH를 떠나는 동안, 정작 LH는 이들을 가해한 상급자들에게 거액의 명예퇴직금을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국토위 소속 국민의힘 김학용 의원이 LH로부터 받아 공개한 자료를 살펴보면 LH가 최근 3년간 징계를 받은 직원 7명에게 준 명예퇴직금은 총 4억7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들 중 한 퇴직자는 2018년 하급자를 성희롱해 강등 처분을 받았음에도 1억2000만 원의 명퇴금을 수령했다. 현재 국민권익위원회는 공공기관 등에 근무하는 임직원이 징계로 퇴직할 시 명퇴금을 주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
이와 관련 조오섭 의원은 "LH의 청년 직원들은 갑질과 폭언·폭행, 성희롱으로 인해 인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철저한 실태 조사를 통해 청년들이 처한 상황을 하루빨리 살펴 피해자 보호 중심 대책을 세우고 우수한 청년 인재들의 이탈을 막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온라인 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