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영기업에서 국민기업으로 탈바꿈해야"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도박 종류 제공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한전 제공

김동철 한국전력공사(한전) 사장이 2024년 갑진년 새해를 맞아 발표한 신년사에서 사실상 민영화 추진을 예고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차기 총선을 앞두고 주요 이슈 중 하나로 떠오를 전망이다.

2일 김 사장은 전남 나주 한전 본사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지금의 위기가 너무나도 큰 데 반해, 그동안 우리는 공기업이라는 이유로 변화와 혁신을 계속 미뤄왔다"며 "공기업의 틀을 벗어나 사업영역을 다각화한 KT와 포스코, 국영기업에서 벗어나 국민기업으로 탈바꿈해 최근 10년 동안 매출을 7배 성장시킨 이탈리아 Enel사(社)처럼 우리도 이젠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고 내세웠다.

또한 김 사장은 신년사 말미에 '자율과 책임경영'을 거론하면서 "공기업이란 지위가 오히려 우리의 앞길을 가로막는 건 아닌지, '공기업은 망하지 않는다'는 안일한 생각 때문에 여기까지 내몰린 건 아닌지 냉정하게 돌아봐야 한다. 독점사업자라는 독점적 지위 때문에 모든 책임과 부담을 짊어지는 건 아닌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며 "공기업 체제의 새로운 대안인 '국민기업'으로 거듭나 전력산업의 안정성과 공공성을 계속 지키고, 글로벌 무대에서 당당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 같은 발언은 한전의 경영정상화 노력과 요금정상화·신사업 계획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이뤄졌다. 그는 "긴박한 위기상황 속에서도 회사는 3.3조 원 규모 재정건전화계획을 이행했고, 최근 2년간 전기요금을 45.3원 인상하여 경영정상화의 계기도 마련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만으론 부족하다", "요금 조정은 꼭 필요하고 절실한 문제다. 이 사실을 국민들에게 계속 알리면서 반드시 요금정상화를 이뤄내야 한다"며 민영화 추진을 시사하는 것처럼 여겨질 수밖에 없는 말들을 이어갔다.

관련 업계에선 김 사장의 신년사가 현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윤석열 정부는 최근 송전망 건설사업에 대한 민간기업들의 참여를 허용하는 내용이 담긴 정책안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4일 공개한 전력계통 혁신대책 관련 보고서를 통해 전력망 건설의 민간기업 참여를 모색해 건설 기간을 줄이고, 한전의 송전망 건설 방식을 다양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산자부에선 한전 민영화 의혹에 대해 선을 분명히 긋고 있지만 관련 업계 내에선 송전망 건설 민간기업 참여가 민영화의 포석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사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해서 전력망을 지은 후 한전이 경영난으로 운영을 제대로 못해 자금 회수가 안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겠느냐. 송전망을 올린 민간기업이 인프라를 가져가는 일이 벌어지지 않겠느냐"라고 우려했다. [도박 종류]

저작권자 © 도박 종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