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 확정 이후에도 +17.2% 상승세 지속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지난해 1월 출시한 ‘KoAct 온라인 검증 사이트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 ETF가 상장 1년여 만에 수익률 +76.7%를 달성했다.(사진=삼성액티브자산운용)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지난해 1월 출시한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 ETF가 상장 1년여 만에 수익률 +76.7%를 달성했다.(사진=삼성액티브자산운용)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지난해1월출시한‘KoAct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ETF가상장1년여만에수익률+76.7%를달성했다고21일밝혔다.같은기간S&P500지수와나스닥지수의수익률+25.4%,+30.4%를크게상회했다.이상품은국내최초로상장된글로벌저탄소전력인프라ETF다.

이상품의수익률이눈에띄는것은신재생에너지관련상품임에도불구하고전통에너지산업에대한선호도가높은트럼프대통령이당선된지난해11월이후에도수익률이+17.2%로높게나타났다는점이다.같은기간S&P500지수는+1.1%,나스닥지수는+3.4%상승에그쳤고특히미국의대표적인클린에너지ETF인‘iSharesGlobalCleanEnergyETF’가-8.6%하락한것에비하면큰격차를보이고있다.

트럼프대통령이당선된이후에도KoAct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가높은성과를기록할수있는것은미국전력산업전반에대한투자를꾸준히늘려온전략이유효했다.실제로이상품은신재생에너지뿐만아니라천연가스와원자력등저탄소에너지에도투자하며무엇보다전력인프라에도큰비중을투자하고있다.AI산업으로인해미국전력수요가전례없이빠르게증가하는가운데트럼프2기행정부에서도이를지원하기위해전력망현대화를적극추진할것으로예상된다는점에서해당기업들의주가가견조한흐름을나타내고있다.

현재투자기업으로는GE버노바(가스/풍력터빈,전력기기),블룸에너지(SOFC연료전지),테슬라(전기차,ESS),퍼스트솔라(유틸리티태양광모듈),지멘스에너지(가스/풍력터빈,전력기기)등의기업들이포함되어있다.

KoAct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의높은성과에대해김효식삼성액티브자산운용운용2팀장은전력인프라섹터와천연가스산업에대한투자비중을확대한전략이주효한것으로분석했다.

AI산업발달에따른전력수요증가를뒷받침하기위해서는전력망에대한투자가필수적인데미국전력망은대부분이1960~70년대에구축된것이라업그레이드가시급하다.

미국천연가스산업에대해서도미국빅테크기업들이급증하는전력수요를재생에너지만으로는감당하기어려워지면서2023년부터원자력발전소와전력구매계약을맺고있는데이러한전력확보움직임이최근에는천연가스발전소로확대되고있다.이미작년하반기부터Enbridge나Vistra같은미국의주요가스관련업체들이빅테크들과협력논의가구체화되고있음을밝힌바있다.

김효식팀장은“전력생산과전력인프라산업은전기차확대지속과더불어AI분야의급속한발전에힘입어상당기간높은성장세를기록할것으로예상한다”며“KoAct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도신재생에너지분야뿐만아니라천연가스,원자력등저탄소에너지산업과전력인프라섹터를포괄한선제적인투자로높은성과를투자자들께제공할것”이라고말했다.

[온라인 검증 사이트]

저작권자 © 온라인 검증 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